취업처 추천 절차
-
1. 지원 서류작성
이력서&자기 소개서
컨설팅 -
2. 모의면접
면접시 복장 및 태도
면접예상 질문과 답변 등
전반적인 면접 컨설팅 -
3. 최신 채용정보 공유
온/오프라인을 통한 채용 정보 공유
채용정보 전달 후 학생 동의 하에 추천 -
4. 취업완료
면접탈락 시 취업지원팀
담당자와 지속적인 컨설팅을 통해
부족한 부분 보완 후 재추천
취업지원센터 문의 ※ 구인·구직 의뢰 및 상담은 전화(월~금/9:30~19:00) 또는 E-mail로 문의바랍니다.
지점 | 담당자 | 전화번호 | 이메일 |
---|---|---|---|
강남 | 이혜진 | 02-539-3176 | hzlzbzlzb@koreaedugroup.com |
신촌 | 민지선 | 02-2138-7628 | mini@koreaedugroup.com |
인천 | 정성훈 | 032-219-1015 | tjdgns1412@koreaedugroup.com |
부산 | 안은혜 | 051-714-2995 | an01992@koreaedugroup.com |
대구 | 신효원 | 053-710-4865 | shw0405@koreaedugroup.com |
수원 | 김현민 | 031-546-5860 | hyeonm_7@koreaedugroup.com |
대전 | 남희지 | 042-716-7442 | hjn7388@koreaedugroup.com |
광주 | 양대성 | 062-714-2944 | dideotjd@koreaedugroup.com |
일산 | 정현겸 | 031-811-8014 | wjdgusrua@koreaedugroup.com |
분당 | 오예진 | 031-607-8909 | wisejinny99@koreaedugroup.com |
노원 | 최한솔 | 02-6229-7751 | chlgksthf@koreaedugroup.com |
울산 | 차지연 | 052-922-8823 | ckwldus1344@koreaedugroup.com |
안산 | 박정욱 | 031-509-8500 | jungwoogbag@koreaedugroup.com |
천안 | 김하나 | 041-900-9957 | mmmmmn438@koreaedugroup.com |
취업가이드
이력서와 자소서를 1:1로 지원하고 기업에서 원하는 지원자격과 정보를 제공합니다.
제목
인적성검사 통과하기 -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, 객관적으로 파악이 중요
6,345
자신이 어떤 사람인지, 객관적으로 파악 중요
기업들이 신입사원 채용과정에서 인적성검사 비중을 크게 강화하고 있다. 한 조사결과에 따르면, 기업의 50%가 채용 시 인적성검사를 실시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. 또한 인적성검사를 실시하는 기업의 80%는 ‘인적성검사 가 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’고 응답했다. 이는 기업의 인재채용 과 정 에서 인적성검사가 점차 중요하게 자리 잡고 있음을 말해준다.
기업들이 인적성검사를 실시하는 이유는 서류전형이나 면접전형으로는 알 기 어려운 지원자의 성품이나 기본자질 등을 파악하기 위해 인적성검사를 도입하고 있다. 또한 직무수행능력, 직무적성검사 등을 통해서 구직자의 능 력, 자질뿐만 아니라 조직에 대한 적응력이나 조직과의 적합성, 지원 직무 와의 적합성도 파악할 수 있어 다차원적으로 구직자를 평가할 수 있다는 점 에서 점차 인적성검사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.
국내 주요 대기업들은 자체적인 인적성검사를 개발해 적용하고 있을 뿐 아 니라 필기시험으로 적용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. 대기업은 이미 오래 전부 터 자체적으로 인적성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시행하고 있으며, 인적성검사 의 비중을 강화하고 있다. 대표적으로 삼성그룹의 삼성직무적성검사 (SSAT), SK그룹의 SK종합적성검사, 두산그룹의 두산적성검사(DCAT), CJ그 룹 의 직무적성검사(BJI TEST), 하이닉스반도체의 인적성검사(Hynat), LG전자 의 RPST 등이 있다.
‘SSAT’로 더욱 유명한 ‘삼성직무적성검사’는 채용과정에 포함돼 참고 사 항이 아닌 당락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전형으로 자리 잡고 있다. 이미 90 년대에 2년여의 연구기간을 거쳐 개발된 ‘SSAT’는 언어, 수리 등의 기 초 지적 능력과 업무, 대인관계 등의 직무능력 및 사회생활에 관련된 자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검사로, 기초능력검사 200문항, 직무능력검사 100문 항 등 총 30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.
LG전자의 ‘RPST’는 승부근성, 실행력, 전문역량, 대인관계를 중점적으 로 평가한다. 두산그룹은 적성검사와 인성검사, 정서역량검사, 리더십상황판 단 검사의 4개 영역으로 구성되고, 342~414개의 문항이 제시된다. SK그룹 은 직장생활에서 요구되는 사교성, 대인관계, 사회성 등 조직생활의 적응 력 을 측정한다. CJ그룹은 자체 개발한 ‘BJI테스트’를 통해 회사와의 부합 여부를 평가한다. 이 테스트는 주로 지원자의 창의성, 정직성, 팀워크 등 의 부분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.
또한 그룹별 감점 요인이 달라 두산직무적성검사는 감점이 없어 빈칸을 남 겨두지 않는 게 유리한 반면, SK종합적성검사는 오답까지도 평가하므로 유 의해야 한다.
그렇다면 인적성검사를 위해서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. 첫째, 이해력을 높 이는 훈련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. 인적성검사는 수리, 언어, 추리, 지각 력 등 다양한 방면의 지식을 요구하는 테스트이지 결코 암기식의 문제가 아니 다. 따라서 문제를 잘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이해력이 뒷받침되어 야 한다. 둘째, 자신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필요하다. 기업들이 인적성검 사 를 실시하는 이유는 해당 기업에 가장 ‘적합한’ 인재를 뽑기 위해서다. 그러므로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를 먼저 객관적으로 파악한다면 인적성검사 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. 셋째, 지원한 기업에서 사용하는 인적성검사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습득할 필요가 있다. 각 기업이 자체적 인 방법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, 미리 해당 기업이 추구하는 가치 관을 파악하면 검사에 유리하다
마지막으로 직무능력이나 사회생활에 관련된 부분은 솔직하게 대답하는 것 이 좋다. 취업을 위해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인재상에 맞도록 응답하는 구 직자들도 많은데, 이 경우는 자기함정에 빠질 수 있으니 주의하도록 해야 한다. 인적성검사는 답변의 일관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 문 에 응답자가 거짓으로 대답하게 되면 일관성을 잃게 되고 이것은 결국 부 정 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.
인적성검사 TIP
1. 인성검사에 대해 소홀히 대하지 마라.
인적성검사의 결과 중에서 정신건강(정서안정성, 감정통제력, 신경질경향) 에 관한 측면은 채용전형 사정 시 매우 중시되고 있다. 다른 평가 요인에 대한 결과가 아무리 좋고 바람직한 결과를 얻었더라도, 정신건강 측면에 대 한 결과가 바람직하지 못하면 탈락된다고 생각하면 된다. 따라서 사전에 자 기 자신의 내면적인 측면을 정확히 파악한 후 진로를 결정해야 한다.
2. 평소의 경험과 선호도를 자연스럽게 답하라.
검사 내용은 대개 평소 우리가 경험하는 내용들에 관한 짧은 진술문과 어 떤 대상과 일에 대한 선호를 택하는 내용들로 구성된 진술문으로 되어 있 으 므로 시험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평소의 경험과 선호도를 자연스럽게 답하 라. 대개 상식적인 반응을 묻는 문항에는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지 말고 솔 직하게 답하라. 자칫 무효화의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.
3. 수험 전날이나 수험기간 동안에 음주나 지나친 운동 등을 삼가라.
심신이 지쳐 있으면 심약한 생각을 갖기 쉽다.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충 분한 휴식을 취하고 심리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검사에 임해야 자신을 정 확히 나타낼 수 있다.
4. 검사시간에 너무 신경 쓰지 마라.
시간제한이 없거나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기 때문에 남보다 빨리 하려고 한 다든가 다른 사람의 퇴실에 신경 쓸 필요가 없다.
5. 각 진술문에 대하여 너무 골똘히 생각하거나 불필요한 생각을 하 지 마라.
지나친 생각은 자신을 잘못 표현하기 쉽고 불필요한 생각은 검사의 타당 도, 신뢰도 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.
6. 솔직하게 표현하라.
대개의 성격검사 문항은 피검사자의 솔직성을 알 수 있게 제작되어 있다. 자칫 솔직성이 너무 결여될 경우에는 검사 자체가 무효화되어 합격에 불이 익을 받을 수 있다.
7. 비교적 일관성 있게 답하라.
이는 앞의 솔직성과 관계된다. 그러나 오히려 너무 일관성에 치우치려는 생 각은 검사 자체를 다른 방향으로 이끌 수도 있다.
8. 마지막 문항까지 최선을 다하라.
한 문항도 빠뜨리지 말고 전체 문항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답하는 것이 매 우 중요하다. 각 문항을 깊이 있게 분석하면서 검사문항을 풀어나갈 게 아 니라 직감적으로 ‘예’와 ‘아니오’ 중에 한 곳에 자신의 색깔을 명확 히 표현하는 것이 결과가 깨끗하다. 가능하면 ‘글쎄요’나 ‘모르겠는데요’ 의 난에는 답변하지 않는 것이 좋다. 모든 문항은 평가결과와 밀접한 관련 이 있기 때문에 응답하지 않은 문항이 많으면 검사 자체를 무효로 처리하 거 나 불리한 평가를 내릴 수 있다.
기업들이 신입사원 채용과정에서 인적성검사 비중을 크게 강화하고 있다. 한 조사결과에 따르면, 기업의 50%가 채용 시 인적성검사를 실시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. 또한 인적성검사를 실시하는 기업의 80%는 ‘인적성검사 가 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’고 응답했다. 이는 기업의 인재채용 과 정 에서 인적성검사가 점차 중요하게 자리 잡고 있음을 말해준다.
기업들이 인적성검사를 실시하는 이유는 서류전형이나 면접전형으로는 알 기 어려운 지원자의 성품이나 기본자질 등을 파악하기 위해 인적성검사를 도입하고 있다. 또한 직무수행능력, 직무적성검사 등을 통해서 구직자의 능 력, 자질뿐만 아니라 조직에 대한 적응력이나 조직과의 적합성, 지원 직무 와의 적합성도 파악할 수 있어 다차원적으로 구직자를 평가할 수 있다는 점 에서 점차 인적성검사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.
국내 주요 대기업들은 자체적인 인적성검사를 개발해 적용하고 있을 뿐 아 니라 필기시험으로 적용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. 대기업은 이미 오래 전부 터 자체적으로 인적성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시행하고 있으며, 인적성검사 의 비중을 강화하고 있다. 대표적으로 삼성그룹의 삼성직무적성검사 (SSAT), SK그룹의 SK종합적성검사, 두산그룹의 두산적성검사(DCAT), CJ그 룹 의 직무적성검사(BJI TEST), 하이닉스반도체의 인적성검사(Hynat), LG전자 의 RPST 등이 있다.
‘SSAT’로 더욱 유명한 ‘삼성직무적성검사’는 채용과정에 포함돼 참고 사 항이 아닌 당락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전형으로 자리 잡고 있다. 이미 90 년대에 2년여의 연구기간을 거쳐 개발된 ‘SSAT’는 언어, 수리 등의 기 초 지적 능력과 업무, 대인관계 등의 직무능력 및 사회생활에 관련된 자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검사로, 기초능력검사 200문항, 직무능력검사 100문 항 등 총 30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.
LG전자의 ‘RPST’는 승부근성, 실행력, 전문역량, 대인관계를 중점적으 로 평가한다. 두산그룹은 적성검사와 인성검사, 정서역량검사, 리더십상황판 단 검사의 4개 영역으로 구성되고, 342~414개의 문항이 제시된다. SK그룹 은 직장생활에서 요구되는 사교성, 대인관계, 사회성 등 조직생활의 적응 력 을 측정한다. CJ그룹은 자체 개발한 ‘BJI테스트’를 통해 회사와의 부합 여부를 평가한다. 이 테스트는 주로 지원자의 창의성, 정직성, 팀워크 등 의 부분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.
또한 그룹별 감점 요인이 달라 두산직무적성검사는 감점이 없어 빈칸을 남 겨두지 않는 게 유리한 반면, SK종합적성검사는 오답까지도 평가하므로 유 의해야 한다.
그렇다면 인적성검사를 위해서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. 첫째, 이해력을 높 이는 훈련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. 인적성검사는 수리, 언어, 추리, 지각 력 등 다양한 방면의 지식을 요구하는 테스트이지 결코 암기식의 문제가 아니 다. 따라서 문제를 잘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이해력이 뒷받침되어 야 한다. 둘째, 자신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필요하다. 기업들이 인적성검 사 를 실시하는 이유는 해당 기업에 가장 ‘적합한’ 인재를 뽑기 위해서다. 그러므로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를 먼저 객관적으로 파악한다면 인적성검사 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. 셋째, 지원한 기업에서 사용하는 인적성검사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습득할 필요가 있다. 각 기업이 자체적 인 방법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, 미리 해당 기업이 추구하는 가치 관을 파악하면 검사에 유리하다
마지막으로 직무능력이나 사회생활에 관련된 부분은 솔직하게 대답하는 것 이 좋다. 취업을 위해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인재상에 맞도록 응답하는 구 직자들도 많은데, 이 경우는 자기함정에 빠질 수 있으니 주의하도록 해야 한다. 인적성검사는 답변의 일관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 문 에 응답자가 거짓으로 대답하게 되면 일관성을 잃게 되고 이것은 결국 부 정 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.
인적성검사 TIP
1. 인성검사에 대해 소홀히 대하지 마라.
인적성검사의 결과 중에서 정신건강(정서안정성, 감정통제력, 신경질경향) 에 관한 측면은 채용전형 사정 시 매우 중시되고 있다. 다른 평가 요인에 대한 결과가 아무리 좋고 바람직한 결과를 얻었더라도, 정신건강 측면에 대 한 결과가 바람직하지 못하면 탈락된다고 생각하면 된다. 따라서 사전에 자 기 자신의 내면적인 측면을 정확히 파악한 후 진로를 결정해야 한다.
2. 평소의 경험과 선호도를 자연스럽게 답하라.
검사 내용은 대개 평소 우리가 경험하는 내용들에 관한 짧은 진술문과 어 떤 대상과 일에 대한 선호를 택하는 내용들로 구성된 진술문으로 되어 있 으 므로 시험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평소의 경험과 선호도를 자연스럽게 답하 라. 대개 상식적인 반응을 묻는 문항에는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지 말고 솔 직하게 답하라. 자칫 무효화의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.
3. 수험 전날이나 수험기간 동안에 음주나 지나친 운동 등을 삼가라.
심신이 지쳐 있으면 심약한 생각을 갖기 쉽다.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충 분한 휴식을 취하고 심리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검사에 임해야 자신을 정 확히 나타낼 수 있다.
4. 검사시간에 너무 신경 쓰지 마라.
시간제한이 없거나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기 때문에 남보다 빨리 하려고 한 다든가 다른 사람의 퇴실에 신경 쓸 필요가 없다.
5. 각 진술문에 대하여 너무 골똘히 생각하거나 불필요한 생각을 하 지 마라.
지나친 생각은 자신을 잘못 표현하기 쉽고 불필요한 생각은 검사의 타당 도, 신뢰도 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.
6. 솔직하게 표현하라.
대개의 성격검사 문항은 피검사자의 솔직성을 알 수 있게 제작되어 있다. 자칫 솔직성이 너무 결여될 경우에는 검사 자체가 무효화되어 합격에 불이 익을 받을 수 있다.
7. 비교적 일관성 있게 답하라.
이는 앞의 솔직성과 관계된다. 그러나 오히려 너무 일관성에 치우치려는 생 각은 검사 자체를 다른 방향으로 이끌 수도 있다.
8. 마지막 문항까지 최선을 다하라.
한 문항도 빠뜨리지 말고 전체 문항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답하는 것이 매 우 중요하다. 각 문항을 깊이 있게 분석하면서 검사문항을 풀어나갈 게 아 니라 직감적으로 ‘예’와 ‘아니오’ 중에 한 곳에 자신의 색깔을 명확 히 표현하는 것이 결과가 깨끗하다. 가능하면 ‘글쎄요’나 ‘모르겠는데요’ 의 난에는 답변하지 않는 것이 좋다. 모든 문항은 평가결과와 밀접한 관련 이 있기 때문에 응답하지 않은 문항이 많으면 검사 자체를 무효로 처리하 거 나 불리한 평가를 내릴 수 있다.